블로그 이미지
sagang
블로그에 연재하던 ‘터키 그 속살로 들어가다’가 [이호준의 터키기행2] ‘아브라함의 땅 유프라테스를 걷다’라는 제목으로 출간됐습니다. ///*이 블로그의 자료들은 출판을 위한 것들이기 때문에 무단 전재,배포,복사를 금합니다. 개인 연락사항은 방명록에 남겨두시거나 sagang@seoul.co.kr로 해주시기 바랍니다.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Notice

2007. 6. 20. 19:12 길섶에서
가물가물한 의식 사이로 느닷없이 끼어드는 소음. 잠은 금세 저만치 달아난다. 겹친 피로를 못 이겨 무너지듯 누운 참이다. 찹쌀∼떡∼ 메밀∼묵∼ 소음의 진원은 찹쌀떡장수다. 잠시 짜증이 일지만, 소리쳐야 먹고 사는 그에게 일일이 사정을 헤아려 달라 할 수도 없으니 감수하기로 한다.

이젠 찹쌀떡을 외치는 소리가 제법 차지게 가락을 탄다. 동네에 처음 나타났을 땐 목청도 작고 구성진 맛이 없었다. 이왕 잠에서 깬 거 얼굴 한번 본 적 없지만 은근한 격려를 보낸다. 찹쌀떡이 풀어 놓은 회상의 끈은, 고픈 배를 움켜쥐고 잠들던 과거 어느날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미소와 눈물이 동시에 베갯잇을 적신다.

순간 날카로운 목소리가 동네를 흔든다.“야!조용히 못해?” 주민 하나가 참다 못해 소리를 지른 모양이다. 사위가 조용해지면서 쓸쓸히 돌아서는 젊은이의 얼굴이 눈에 밟힌다. 달아난 잠은 돌아올 기미가 없고 실현 안 될 생각만 꼬리를 문다. 조용한 환경에서 잠들고 싶은 주민과 팔기 위해 소리쳐야 하는 찹쌀떡장수, 둘이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세상은 늘 모순덩어리다.
2005.1.27

posted by sagang
2007. 6. 13. 13:39 길섶에서
버스는 아침마다 만원이다. 교통체계 개편초기의 여유롭던 출근길은 어느덧 옛말이 됐다. 종점을 출발한 지 얼마 되지 않았는데 발 디딜 틈이 없다. 하지만 1분이 급한 승객들은 꾸역꾸역 밀고 올라온다.

“위로 올라오세요. 백미러를 봐야 출발할 거 아닙니까.” 기사의 목소리엔 짜증이 묻어난다. “가긴 어디로 가요. 올라갈 데가 어디 있다고….” 맨 뒤에 타서 아직 발판을 벗어나지 못한 승객의 목소리도 뾰족하다.“출발하지 말라는 거요? 어서 비켜요.” “허 참, 주저앉을까요? 누워요?” 오고가는 목소리에 가시가 날카롭다.

“아니, 이 사람이. 아침부터 말투가 왜 그래?” “뭘 어쨌는데요? 그러는 아저씨는 왜 반말을 해요?” “어라? 언제 반말을 했다고 그래? 그리고 자식 같은 사람에게 반말 좀 하면 어때.” “자식들한테나 하세요.” 이제 증오까지 담긴 말들은 서로의 꼬리를 물고 끝없이 질주한다. 왜 다투기 시작했는지 잊어버린 지는 오래다. 버스는 떠날 기미가 없고 시간을 강탈당한 승객들은 답답하다. 이 나라 정치판을 빼닮았다.
2005.1.18

posted by sagang
2007. 6. 6. 17:18 길섶에서
옷섶을 거칠게 헤친 칼바람은 늑골까지 파고들 정도로 집요하다. 배달 갔던 아들이 동동걸음으로 돌아오자 노모는 트럭의 조수석으로 올라가 한기를 던다. 아들은 쉴 틈도 없이 익은 통닭을 꺼내고 새 닭을 집어넣는다. 두 사람 다 볼이 퍼렇게 얼어있다.

동네 어귀에 저녁이면 전기구이통닭을 파는 트럭이 나타난다. 처음에는 아들 혼자 장사를 하더니 배달 주문이 잦아지면서 노모가 따라나오기 시작했다. 전기구이는 장작구이와 달리 굽는 사람에게 온기를 주지 못한다. 다행히 장사는 꽤 잘돼, 통닭을 사려면 한참씩 기다려야 한다.

며칠 전 아내가 하던 말이 생각난다.“통닭 할머니가 아들 중매 좀 서라네.” “아들? 그 사람이 아직 결혼을 안 했어? 나이가 꽤 들어 보이던데?” 노인은 안면이 익은 사람을 만나면 아들 장가 좀 보내달라고 하소연한단다.

나이 40이 다 되도록 색시감이 없어 걱정이라면서. 개진개진 젖은 눈으로 아들을 바라보는 노인의 얼굴에 근심이 가득하다. 새 봄에는 통닭 트럭 옆에서 노모 대신 새색시를 볼 수 있기를….
2005.1.12

posted by sagang
2007. 5. 30. 18:36 길섶에서
“이번엔 잘 좀 됐으면 좋겠네.” 아내의 목소리에 걱정이 그득하다. 외출에서 돌아오는 길, 아내의 시선은 풍선이 주렁주렁 매달린 빵집에 가 있다. 그러고 보니 무심히 지나친 며칠 사이 간판이 바뀌어 있다.

빵집은 몇 달 사이에 세 번째 주인을 맞이했다. 처음의 젊은 부부는 꽤 버티는 듯하더니 어느 날 가게를 넘기고 떠났다. 그걸 인수받은 중년부부는 모든 게 어설퍼 보였다. 빵을 구울 줄 몰라 제빵기술자를 고용하고, 장사도 초보 티가 역력했다. 명예퇴직을 하고 퇴직금을 투자해 차린 것 같았다. 손님을 기다리며 창 밖을 내다보는 부부를 볼 때마다, 아내는 자신의 일인 양 한숨을 짓고는 했다. 결국 두어 달도 못 버티고 넘긴 모양이었다.

아파트단지 규모로 볼 때, 빵집이 들어선 자리는 누가 봐도 장사가 잘 될 곳이 아니다. 그런데도 싼 임대료 때문인지 계속 새 주인이 들어온다. 조금만 여유를 가지고 살피면 실패 확률을 훨씬 줄일 수 있을 텐데. 미래에 대한 불안, 가족의 안위에 대한 초조감이 판단력을 반감시키는 것일까. 발걸음이 무겁다.
2005.1.4

posted by sagang
2007. 5. 23. 18:29 길섶에서
연말이 되면서 각종 모임이 잦아진다. 그 중 가장 반가운 건 역시 초등학교 동기모임이다. 수십 년의 세월을 흰머리와 처진 어깨에 이고 지고 모이지만, 마음은 냇가에서 물장구를 칠 때와 조금도 다르지 않다. 갈수록 줄어 이젠 많이 모여야 스무명 안팎이다. 여름에는 고향으로 가고, 겨울에는 시골 친구들이 서울로 온다.

고향에서 농사를 짓는 친구들은 소풍가듯 모여 기차를 타고 온다. 그들에게는 고향 뒷산의 솔바람과 흙냄새와 새소리가 묻어서 온다. 마디마다 옹이가 박힌 손을 잡으면 잊고 있었던 아버지와 할아버지가 가슴속에서 걸어나온다.

화제는 자연스럽게 농사로 시작된다. 올 수확이 어땠느냐는 물음에 옆자리의 친구는 씁쓸한 웃음부터 베어문다.“배추 농사는 망했어. 한포기에 100원씩이라는데, 그나마 사겠다는 사람이 없어서 그대로 갈아엎었다.” 자식처럼 애지중지 키운 배추를 갈아엎을 때의 심정이 오죽했을까. 하지만 친구는 의연하다.“걱정 마라. 굶어죽기야 하겠냐. 내년에 제대로 하면 되지.” 그 와중에도 ‘내년의 희망’을 얘기하는 친구의 잔에 술이나 채울 뿐이다.
2004.12.28

posted by sagang
prev 1 2 3 4 5 6 7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