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sagang
블로그에 연재하던 ‘터키 그 속살로 들어가다’가 [이호준의 터키기행2] ‘아브라함의 땅 유프라테스를 걷다’라는 제목으로 출간됐습니다. ///*이 블로그의 자료들은 출판을 위한 것들이기 때문에 무단 전재,배포,복사를 금합니다. 개인 연락사항은 방명록에 남겨두시거나 sagang@seoul.co.kr로 해주시기 바랍니다.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Notice

2007. 10. 24. 19:25 길섶에서
야근 중 잠깐 들른 간이휴게실엔 동료직원들의 대화가 무르익고 있다.“가긴 했는데 자리가 있어야지. 한참 기다리고 있으니 하나가 비더라고. 얼른 끼어 앉았지….” 휴일에 낚시를 다녀온 모양이다. 낚시라고는 피라미 한 마리 낚아본 적 없는 내가 불쑥 끼어 든다.“낚시터에 사람이 그렇게 많아요?” “몰랐어요? IMF 이후로 북적북적 하는 걸요.”

그들의 설명에 의하면 환란의 유탄에 희생된 실직자들이 모여들면서 낚시터의 호황이 시작됐다고 한다. 이어 요즘은 주5일제 혜택을 톡톡히 보고 있다는 것이다.“유료낚시터 임대료가 10억이랍니다. 돈이 되거든요. 입장료 받지, 밥 팔지, 미끼까지….”고개가 끄덕여지면서도 가슴은 묵지근하다.

아침에 집에서 나왔지만 갈 곳 없는 사람들이 근교 산을 배회했던 게 옛날 얘기가 아니다. 하긴, 지금도 어둠의 터널은 여전하지 않은가. 아무리 세상살이가 빛과 그림자의 교직으로 이뤄진다지만, 낚시터가 누린 호황의 그늘에 얼마나 많은 눈물이 있었으랴. 찌를 바라보며 고통을 삭혀야 하는 이들이 없어지는 날은 언제쯤일까.
2005.5.9

posted by sagang
2007. 10. 17. 19:15 길섶에서
퇴근길. 어깨 위의 피곤을 애써 털어내며 집에 들어선다. 무슨 눈치를 챘는지, 인사만 하곤 제 할 일이 바쁘던 큰 아이가 유난히 수다스럽다.“사내녀석이…. 용돈이 궁하냐?” 은근히 핀잔을 하지만, 마음의 주름은 활짝 펴진다. 그런 평화도 잠시, 녀석의 제안에 정신이 번쩍 든다.“아빠, 모처럼 팔씨름 한 판 어때?” “뭐? 팔씨름?” 승패를 점치는 눈에, 부쩍 커버린 아이의 덩치가 산만해 보인다.

“싫다. 이 녀석아. 새삼스럽게 팔씨름은 무슨….” 하지만 쉽게 물러설 기미가 아니다. 몇번 버티다가 결국 팔소매를 둥둥 걷고 손을 맞잡는다. 작은 아이가 “아빠, 이겨라!”를 외치지만, 나는 안다. 약자를 위한 응원일 뿐이라는 걸. 예상대로 힘 한번 제대로 써보지 못하고 두 손을 든다.

생전 처음 아빠를 이긴 아이는 환호성이 대단하다. 짜식! 말은 안 하지만 너를 못 이기는 게 한두 가진 줄 아냐? 게임도 너만 못하고, 달리기도…. 하지만, 아이들은 그걸 알까? 제 힘이 세진 것보다 아빠의 힘이 빠진 게 먼저라는 걸. 흰머리와 주름이 늘어갈수록 저희들 곁에 서 있을 날이 줄어든다는 걸….
2005.5.6

posted by sagang
2007. 10. 10. 19:14 길섶에서
“에쎄필드 한 갑 주세요.” “뭐? 애쌔…뭐라고?” “필드요.” “자, 골라봐. 이거?” 담배가게 할머니는 오늘도 첫 번째 시험을 통과하지 못했다. 담배 서너 갑을 한꺼번에 들고 하나를 가리켜 보지만, 다른 걸 집는 손이 야속하다.

언제부터인가 담배에서 한글을 찾기가 별을 따기보다 어려워졌다.‘TIME’이나 ‘THIS’는 그나마 좀 낫다.‘Indigo’나 ‘RAISON’정도가 되면 국적이 의심스러울 지경이다.‘ESSE’만 해도 ‘lights’ ‘field’ ‘one1’…. 다른 건 모양으로 구분한다지만 ESSE는 색깔까지 비슷하니, 자꾸 눈이 침침해지는 노인에겐 난감할 수밖에.

“담뱃갑마다 적어놓을 수도 없고, 아무리 외우려고 해도 당최 눈에 안 들어오니….” 길게 늘어지는 담배가게 할머니의 푸념이 오래 귓전을 맴돈다. 거북선, 솔, 도라지, 은하수…. 우리말로 부르던 담배이름을 그리워하는 건 할머니와 나뿐일까? 흡연이 죄가 된 시대, 담배를 끊지 못해 눈치보며 사는 처지에 그런 걸 따지는 것도 주제넘은 짓일까?
2005.5.2

posted by sagang
2007. 10. 3. 18:50 길섶에서
연초에 신춘문예 관문을 통과한 후배와 모처럼 연락이 닿았다.“글은 잘 되냐?” “글쎄…. 먹고사는 게 급해서요.” 우스갯소리 하듯 가벼움을 가장했지만 마음은 쓰리다. 그 문을 통과하기 위해 그는 황금같은 젊은 날을 ‘눈물 젖은 빵’과 함께했다. 갈채 속에 빛나던 얼굴은 시상식 단 하루를 위한 것이었던가. 하긴, 쓰면 뭐하랴. 발표할 곳도 마땅찮은 판에.

여흥(?)으로 쓰는 사람들이야 걱정할 것도 없지만, 문학에 인생을 건 이들이 ‘밥’을 위해 글을 제쳐둬야 하는 현실은 서글프다. 현재 한국문인협회에 등록된 작가는 7400명이다. 그들 중 대부분은 글로는 ‘먹고 살 수’ 없다. 한 중진작가는 국내에서 원고료로 생활이 가능한 문인은 다섯손가락 이내라고 울분을 토했다.

창작의 고통을 말할 때 흔히 ‘뼈를 깎고 피를 찍어서’라고 표현한다. 그 결과가 밥걱정이라니.‘밥’도 안 되는 문학의 길을 가기 위해 밤을 지새우며 자신과 싸우고 있는 젊은이들에게 뭐라고 해줘야 하나. 쓸데없는 짓 그만두고 자격시험공부라도 하라고? 문학 없는 세상, 생각하기도 싫은데.
2005.4.27

posted by sagang
2007. 9. 26. 17:57 길섶에서
봄이면 자주 쓰는 말에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이 빠지지 않는다.‘봄이 와도 봄 같지 않다’ 정도의 뜻이겠지만 사연은 제각각 다를 것이다. 돈이 없어서… 세상 돌아가는 꼴이 한심해서…. 하기야 바람이 따뜻해지고 꽃이 핀다고 얼었던 마음이 금방 풀리기야 할까. 하지만 살다 보면 세상이 그리 팍팍한 것만은 아니라는 걸 우연히 확인하기도 한다.

얼마 전 이 코너에 ‘머위’라는 글을 쓴 적이 있었다. 그 걸 읽은 선배 한 분이 전화를 했다.“시골 어머님이 머위를 보내오셨는데 나눠 먹자.” 통화는 간단했지만 감동은 그리 간단하지 않았다. 먼 곳에서 온 머위를 보면서, 그 머위가 먹고 싶다던 후배를 떠올렸을 선배의 마음….

다음날에는 낯선 e메일 한 통을 받았다. 연세가 지긋한 독자였다. 이름 석자만 들어도 고개가 끄떡거려지는, 알려진 분이기도 했다. 내용은 집에 무공해 머위가 한창이니 나눠주겠다는 것이었다. 그러면서 우리 맛의 정취를 못 잊는 사람끼리 술이라도 한 잔 하자고…. 받기만 하는 게 염치없지만, 올봄엔 내가 가장 부자다.
2005.4.26

posted by sag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