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sagang
블로그에 연재하던 ‘터키 그 속살로 들어가다’가 [이호준의 터키기행2] ‘아브라함의 땅 유프라테스를 걷다’라는 제목으로 출간됐습니다. ///*이 블로그의 자료들은 출판을 위한 것들이기 때문에 무단 전재,배포,복사를 금합니다. 개인 연락사항은 방명록에 남겨두시거나 sagang@seoul.co.kr로 해주시기 바랍니다.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Notice

'쟁기'에 해당되는 글 1

  1. 2008.04.14 [사라져가는 것들 53] 쟁기질19
2008. 4. 14. 16:45 사라져가는 것들
이랴~ 이랴~ (ㅉ, ㅉ, ㅉ) 이랴~ 이랴~ (ㅉ, ㅉ, ㅉ) 워! 워!

 

나무들이 겨우내 품고 있던 초록을 잔가지마다 밀어내기에 분주할 즈음 들녘에는 논밭을 가는 농부의 목소리가 울려 퍼집니다.

봄은 농부의 땀과 쟁기의 보습을 타고 논으로 밭으로 마을로 춤추듯 옵니다.

겨우내 꽁꽁 얼었던 땅은 봄바람의 간지럼에 키득키득 웃다가 자신도 모르게 눅지근하게 풀어져버립니다.

하지만 아무리 좋아보여도 그 땅에 그대로 씨를 뿌리는 농부는 없습니다.

깊이 숨었던 땅의 속살을 끄집어내어 햇볕과 바람 아래 널어두는 것으로부터 한 해의 농사가 시작됩니다.

지난해 농작물에게 양분을 다 내어준 땅거죽을 갈무리하여 쉬게 하고, 1년간 힘을 비축한 속살을 불러내는 게 바로 쟁기질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농부들은 추수가 끝난 늦가을부터 새 봄의 농사를 준비합니다.
보습이 녹슬지 않도록 잘 닦아서 보관하는 것은 물론, 겨우내 지극정성으로 소를 돌봅니다.
쇠죽을 끓일 때마다 쌀겨를 듬뿍 넣고 사람도 아껴먹는 콩으로 보신을 시키기도 합니다.
소는 겨울에 잘 먹여둬야 봄에 힘을 쓰기 때문입니다.
새내기 일소에게는 코뚜레도 하고 멍에를 얹어서 무거운 것을 끌고 다니는 훈련을 시키기도 합니다.
그래야 봄에 꾀를 안 부리고 논밭갈이를 잘 합니다.
남녘으로부터 꽃소식이 들려오면 농부는 살이 두둑하게 오른 소를 앞세우고 논밭으로 갑니다.
멍에를 얹고 부리망(풀을 뜯어먹는 등 딴전 피우기를 막기 위한 입마개)를 채우고 쟁기를 맨 다음 “자! 올해도 잘해보자”하고 부탁하는 것도 잊지 않습니다.
겨울에 새끼를 낳은 암소는 안타까운 풍경을 연출하기도 합니다.
엄마를 따라 밭으로 나온 송아지는 쟁기질을 하는동안 왔다갔다 따라다닙니다.
어미는 그런 새끼가 눈에 밟혀 일하는 내내 마음이 편치 못합니다.
그러다 잠시 쉴 때면 가쁜 숨을 가라앉히기도 전에 선 채로 젖을 물리고 안도의 한숨을 내쉽니다.


아무 소나 쟁기를 끄는 게 아니듯이 농부도 아무나 쟁기를 부릴 수 있는 건 아닙니다.

쟁기질에도 기술이 필요합니다.

처음 쟁기질 하는 사람은 소에게 질질 끌려 다니다가 삐뚤빼뚤 땅거죽만 벗겨놓고 말기 십상입니다.

보습을 적당히 박아 넣어 제대로 갈아엎지 않으면 쟁기질을 하나마나입니다.

그렇다고 보습이 땅에 박혀버릴 정도로 깊이 찔러 넣으면 힘만 빠지지 앞으로 나가지 못합니다.

기술보다 더 중요한 것은 소와의 교감입니다.

좋은 농부는 소와 진지하게 대화를 나눕니다.

소는 기계처럼 부리는 게 아니라, 가족처럼 일을 나누는 것이라는 순리를 아는 까닭이지요.

대충 이랴~ 이랴~ 하며 따라다니면 논밭이 갈아지는 것 같아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소가 말을 잘 듣기도 하고 꾀를 부리기도 합니다.

소를 아는 농부는 함부로 욕도 하지 않습니다.

쟁기질에 능숙한 농부는 이곳저곳에서 일을 해달라고 찾기 때문에 농사철에는 눈코 뜰 새가 없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소를 구경하기 힘든 궁벽한 마을, 놉을 사기도 어려운 농가에서는 궁여지책으로 아내가 소가 되고 남편이 쟁기잡이가 되어 밭을 갈기도 했습니다.
원래는 작물을 심어놓은 밭의 이랑을 돋울 때, 다른 작물을 다치않기 위해 사람이 끌던 것이지만 소가 없어서 끌기도 했지요.
지금은 거의 보기 힘든 장면입니다.
하긴 요즘은 인간이 끄는 쟁기질은커녕 소가 끄는 쟁기질도 보기 어렵습니다.
어지간한 벽지, 손바닥만한 논밭에도 기계가 들어앉아 쟁기질을 합니다.
소를 거두는 것도 힘들지만, 쟁기질을 할만한 근력을 가진 젊은 농부들이 거의 없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그러니 경운기를 몰 능력마저 안 되면 눈물을 머금고 묵정밭으로 만드는 수밖에 없지요.
소쟁기질을 보려면 산골짜기 비탈밭이나 기계가 들어가기 어려운 다랑논을 찾아가야 합니다.
사연이야 어떻든 간에, 농촌에 갈 때마다 소쟁기질이 사라진 풍경은 낙락장송이 빠진 산수화처럼 허전하기 그지없다는 생각을 합니다.
세상은 앞으로 달려가는데 자꾸만 뒤를 돌아보는 ‘선천적 그리움증’ 환자가 더 문제일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같이 들고요.


두번 째 사진은 서울신문 사진부 남상인 부장이 제공했습니다.

posted by sagang
prev 1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