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sagang
블로그에 연재하던 ‘터키 그 속살로 들어가다’가 [이호준의 터키기행2] ‘아브라함의 땅 유프라테스를 걷다’라는 제목으로 출간됐습니다. ///*이 블로그의 자료들은 출판을 위한 것들이기 때문에 무단 전재,배포,복사를 금합니다. 개인 연락사항은 방명록에 남겨두시거나 sagang@seoul.co.kr로 해주시기 바랍니다.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Notice

'신안'에 해당되는 글 1

  1. 2011.09.19 [이야기가 있는 사진 13] 소금 없는 염전을 가다4
2011. 9. 19. 10:13 이야기가 있는 사진

제게 여름은 좀 난감한 계절입니다.
휴가철이 시작되면 도로마다 동맥경화에 걸려 끙끙 앓아대기 때문입니다.
그 길에 제 차를 하나 더 얹자니 좀 미안하기도 하고, 그렇다고 두 손 놓고 있을 수도 없고.
휴식을 위해 떠나는 사람들과 일을 하러 가는 사람일 때문에 길을 나서야 하는 제가 더 절박해 보이지만 따지고 보면 꼭 그렇지도 않습니다.
그들 역시 1년에 한번, 벼르고 벼른 휴가길이니 늘 길 위를 떠도는 제가 한 수 접는 게 옳을 것 같기도 합니다.
몰론 제게도 휴가는 있습니다.
휴가를 받으면 하루 이틀로는 갈 수 없었던 오지나 섬을 떠돌기 마련입니다.
이번에는 전남 신안군 증도에 다녀왔습니다.
그밖에도 몇몇 섬을 돌아다녔지만, 제가 최종적으로 잡았던 목적지는 역시 증도였습니다.
염전을 만나기 위해서였습니다.
염전이라면 부안의 곰소염전을 비롯해 여러 곳을 다녀봤지만, 국내 최고라는 증도는 꼭 한번 가봐야겠다고 벼르던 곳입니다.
아시아 최대의 단일염전이라는 태평염전을 중심으로 국내 소금 생산량의 60% 이상을 맡고 있는 염전단지가 바로 그곳입니다.
비옥한 갯벌과 풍부한 일조량, 그리고 상대적으로 높은 수온과 적절한 바람이 소금의 탄생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제공한다고 합니다.

예로부터 소금은 금()만큼이나 귀한 것이었습니다.
아니 생존을 위해서는 금 따위가 문제가 아니었지요.
동물에게 소금은 생명유지를 위한 필수 요소입니다.
소금은 체내, 특히 체액에 존재하면서 삼투압을 유지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체내에 칼륨이 많고 나트륨이 적어지면 생명이 위태로울 수도 있습니다.
또 땀을 많이 흘려 급격하게 염분을 잃게 되면 현기증·의식혼탁 등을 일으키게 됩니다.
그렇게 중요한 역할을 하다 보니, 옛날에는 소금의 확보 여부가 국가의 존망을 결정짓기도 했습니다.
소금을 확보하기 위한 전쟁이 일어나는 건 어쩌면 당연했지요.
지역이나 시대에 따라 소금을 얻는 방법도 다양했습니다.
바닷물을 증발시켜 소금을 얻는 천일염이나 바닷물을 퍼서 솥에다 넣고 끓여 졸이는 자염 등이 가장 일반적이었습니다.
지각변동으로 바닷물이 갇혀 굳어진 고체 소금을 파내 얻는 암염이나 소금기 있는 지하수를 증발시켜 채취하는 정염도 있습니다.

방법이야 어떻든 쉽게 얻어지는 소금은 없습니다.
천일염만 해도 바닷물을 햇볕 아래 가두기만 하면 소금이 생길 것 같지만, 어림도 없는 일입니다.
생각보다 훨씬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하얀 금, 소금을 얻을 수 있습니다.
우선 수문을 열고 바닷물을 끌어들여 저장지에 가둔 다음 증발지로 보냅니다.
1차 증발지에서 어느 정도 증발시킨 뒤 2차 증발지로 보내집니다.
저장지에서 1, 2차 증발지로 갈수록 수분은 증발하고 염도는 높아집니다.
2차 증발지를 거쳐 염도가 최고조에 달한 바닷물은 마지막으로 결정지로 보내집니다.
볕이 좋은 날 새벽나절 결정지로 들어간 소금물은 한낮 내내 졸이고 졸여져 저녁 무렵이 가까워지면 하얀 소금 꽃을 피우기 시작합니다.
열 말의 바닷물을 가두면 소금 한 되가 나온다고 합니다.
봄가을은 열흘 정도, 여름은 한 사나흘이면 소금이 됩니다.
소금 꽃을 만드는 건 햇볕뿐이 아닙니다.
적당한 바람과 염부의 땀과 적절한 시간이 버무려진 결과입니다.
계절, 햇볕, 바람은 물론 결정지에 머무는 시간에 따라 소금의 굵기와 맛이 달라집니다.

그래서 드는 생각입니다.
소금은 어쩌면 생명의 어머니인 바다가 우리에게 주는 젖일지도 모른다는.
바다는 소금을 통해 우리가 잊어버린 시원(始原)의 사랑을 끊임없이 보내주는 것인지도 모릅니다.
소금이 귀하다는 걸 강조하다 보니 얘기가 옆길로 새고 말았습니다.
결론을 말하면, 소금을 찾아갔던 이번 증도 여행은 별 소득이 없는 실패작이었습니다.
섬 어디를 가도 염전은 비어 있고, 땀 흘리는 염부는 구경조차 할 수 없었습니다.
어느 염전은 바다풀이 솟아올라 폐염전과 다름없었고, 소금창고 옆에는 장비들이 제멋대로 굴러다니고 있었습니다.
한참 소금을 만들어야하는 여름, 소금을 만들던 사람들은 모두 어딜 간 걸까요.
벌써 짐작하신 분들도 있겠지만, 비 때문입니다.
여름 내내 쏟아진 비가 소금을 만드는 사람도 장비도 꼼짝 못하게 만들어놓은 것입니다.
비가 오면 염전은 아무것도 할 수 없습니다.
140만평을 자랑하는 광활한 태평염전 역시 염부 대신 관광객들만 기웃거릴 뿐이었습니다.
67개의 소금밭에서 연간 약 15천여t의 천연소금을 생산한다는 그곳, 3km에 걸쳐 도열한 소금창고만 해도 66개나 되는 그곳이 두 손을 놓고 있었습니다.
마침 조금 열려있는 소금창고가 있길래 들여다봤더니 텅텅 비어 있었습니다.

천일염은 1년 내내 만들어지는 게 아닙니다.
보통 4월 중순에 시작해서 9월말이면 끝납니다.
그런데 소금이 가장 많이 생산 되는 여름 중 두어 달을 공쳤으니 걱정이 아닐 수 없습니다.
어찌 증도뿐이겠습니까.
섬을 돌아다니는 내내 머릿속을 떠나지 않은 생각은, 올 겨울에는 소금 값이 금값의 뺨을 칠지도 모른다는 것이었습니다.
물론 값싼 중국산 소금이 지천으로 흘러들어온다니, 아무렇지도 않게 지나갈지도 모릅니다.
저처럼 미천한 입맛은 달게 짜다는 우리 소금맛과 쓰게 짜다는 중국산 소금 맛을 구분할 줄도 모르니까요.
그리 생각하니, 태생적으로 걱정 많은 나그네의 괜한 기우였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기도 했습니다.

*사진에 나오는 염부는 관광객입니다.

posted by sagang
prev 1 next